여우난 곬족
| | | ↑↑ 백석 백기행(1912∼1996, 평북 정주 출생) | ⓒ 옴부즈맨뉴스 | |
명절날 나는 엄마 아배 따라 우리 집 개는 나를 따라 진 할머니 진 할아버지가 있는 큰집으로 가면 얼굴에 별 자국 솜솜 난 말수와 같이 눈도 껌벅거리는 하루에 베 한필을 짠다는 벌 하나 건너 집엔 복숭아나무가 많은 신리 고무 고무의 딸 이녀 작은 이녀
열여섯에 사십이 넘은 홀아비의 후처가 된 포족족하니 성이 잘 나는 살빛이 매감탕 같은 입술과 젖꼭지는 더 까만 예수쟁이 마을 가까이 사는 토산 고무 고무의 딸 승녀 아들 승동이
육십리라고 해서 파랗게 뵈는 산을 넘어 있다는 해변에서 과부가 된 코끝이 빨간 언제나 흰옷이 정하든 말끝에 섧게 눈물을 짤 때가 많은 큰골 고무 고무의 딸 홍녀 아들 홍동이 작은 홍동이
배나무접을 잘하는 주정을 하면 토방 돌을 뽑는 오리치를 잘 놓는 먼섬에 반디젓 담그러 가기를 좋아하는 삼춘 삼춘 엄매 사춘 누이 사촌 동생들이 그득히들 할머니 할아버지가 있는 안간에들 모여서 방안에서는 새 옷의 내음새가 나고
또 인절미 송구떡 콩가루차떡의 내음새도 나고 끼때의 두부와 콩나물과 뽂은 잔디와 고사리와 도야지 비계는 모두 선득선득하니 찬 것들이다
| | | ↑↑ 여우난 곬족 홍성찬 화백 그림 | ⓒ 옴부즈맨뉴스 | |
저녁술을 놓은 아이들은 외양간섶 밭마당에 달린 배나무 동산에서 쥐잡이를 하고 숨굴막질을 하고 꼬리잡기를 하고 가마 타고 시집가는 놀음 말 타고 장가가는 놀음을 하고 이렇게 밤이 어둡도록 북적하니 논다
밤이 깊어가는 집안엔 엄매는 엄매들끼리 아릇간에서들 웃고 이야기하고 아이들은 아이들끼리 웃간 한방을 잡고 조아질하고 쌈방이 굴리고 바리깨돌림하고 호박떼기하고 제비손이구손이하고 이렇게 화디의 사기방등에 심지를 몇 번이나 돋구고 홍게닭이 몇 번이나 울어서 졸음이 오면 아릇목싸움 자리싸움을 하며 히드득거리다가 잠이 든다
그래서는 문창에 텅납생의 그림자가 치는 아침 시누이 동세들이 욱적하니 흥성거리는 부엌으론 샛문틈으로 장지문틈으로 무이징게국을 끓이는 맛있는 냄새가 올라오도록 잔다
[시어 풀이]
벌 : 매우 넓고 평평한 땅 고무 : 고모, 아버지의 누이 매감탕 : 엿을 고아낸 솥을 가셔낸 물. 혹은 메주를 쑤어낸 솥에 남아 있는 진한 갈색의 물. 토방돌 : 집채의 낙수 고랑 안쪽으로 돌려가며 놓은 돌. 섬돌. 오리치 : 평북지방의 토속적인 사냥용구로 동그란 갈고리 모양으로 된 야생오리를 잡는 도구. 안간 : 안방. 저녁술 : 저녁밥. 저녁숟갈. 숨굴막질 : 숨바꼭질. 아릇간 : 아랫방. 조아질 : 부질없이 이것저것 집적거리며 해찰을 부리는 일. 평안도에서는 아이들의 공기놀이를 이렇게 부르기도 함. 쌈방이 : 주사위 바리깨돌림 : 주발 뚜껑을 돌리며 노는 아동들의 유희. 호박떼기 : 아이들의 놀이 제비손이구손이 : 다리를 마주끼고 손으로 다리를 차례로 세며, '한알 때 두알 때 상사네 네비 오드득 뽀드득 제비손이 구손이 종제비 빠땅' 이라 부르는 유희 화디 : 등경. 등경걸이. 나무나 놋쇠 같은 것으로 촛대 비슷하게 만든 등잔을 얹어 놓은 기구. 사기방등 : 흙으로 빚어서 구운 방에서 켜는 등. 홍게닭 : 새벽닭. 텅납새 : 턴납새. 처마의 안 쪽 지붕이 도리에 얹힌 부분. 부고장 같은 것이 오면 방 안에 들이기를 꺼려 이곳에 끼워 넣는 풍속이 있었음. 동세 : 동서(同壻). 무이징게국 : 징거미(민물새우)에 무를 숭덩숭덩 썰어 넣고 끓인 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