옴부즈맨뉴스

우후죽순처럼 솟아나는 MB 일가·측근 비리..그 중심엔 MB

김형오박사 2018. 3. 2. 11:50

우후죽순처럼 솟아나는 MB 일가·측근 비리..그 중심엔 MB

뇌물 90억+α..직권남용·선거법 위반 등 혐의 계속 ↑
소환조사 3월 초에서 중순으로 늦춰질 듯

2018년 03월 01일 [옴부즈맨뉴스] 

 

↑↑ 이명박 전 대통령이 19일 오후 서울 강남구 대치동 사무실을 나서고 있다. 2018.2.19.(사진 = 옴부즈맨뉴스)
ⓒ 옴부즈맨뉴스

[서울, 옴부즈맨뉴스] 이정행 취재본부장 = 평창동계올림픽이 끝나자마자 이명박 전 대통령(77)에 대한 검찰의 소환조사가 있을 것으로 보았으나 예정보다 미뤄지고 있다. 

수사가 진행될수록 이 전 대통령 주변 인물들의 추가 범죄 혐의가 속속 불거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3월 초로 예상됐던 소환조사가 3월 중순으로 늦춰질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부인, 아들, 형제와 조카, 사위까지 화수분처럼 쏟아지는 이 전 대통령 일가와 측근들의 범죄 혐의의 공통점은 모든 의혹의 중심에 이 전 대통령이 있다는 점이다.

↑↑ 혐의별 주요 수사데상(사진 = 뉴스1)
ⓒ 옴부즈맨뉴스

검찰은 최근 이팔성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이 인사청탁 등 명목으로 이 전 대통령의 맏사위인 이상주 삼성전자 전무(48)에게 14억원을, 형인 이상득 전 국회의원(83)에게 8억원을 전달한 혐의를 포착했다.

검찰은 총 22억원의 이 자금이 이 전 대통령측에 흘러갔다고 보고 있다. 이 가운데 8억원은 중견조선업체 A사로부터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고속도로 휴게소 및 건설사를 운영하는 중견기업인 대보그룹이 이 전 대통령 측에 수억원을 건넨 정황도 수사 중이다.

이상득 전 의원은 앞서 지난 2011년 국정원의 인도네시아 대통령 특사단 숙소 침입 사건으로 책임론이 불거질 것을 우려한 원세훈 당시 국정원장으로부터 억대의 특수활동비를 수수한 혐의로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를 받았다.

김윤옥 여사(71)는 김희중 전 대통령 제1부속실장(50)으로부터 특활비 1억여원을 달러로 건네받은 의혹을 받고 있다. 검찰은 김 전 실장과 그가 돈을 건넸다고 지목한 당시 김 여사 측 행정관과 대질신문도 벌였다.

이상은 다스 회장(MB 큰형)과 이 회장의 아들 이동형 다스 부회장, 이시형 SM 대표(43·MB 아들)는 이 전 대통령이 실소유주라는 의혹을 받고 있는 자동차 부품회사 다스와 관련 전방위 의혹의 중심에 서있다.

최근 검찰은 시형씨와 최측근 강경호 다스 사장 등이 다스를 시형씨에게 승계하는 프로젝트를 준비했던 정황도 포착했다. 또 이 전 대통령의 자금관리인 이영배 금강 대표(구속기소)가 수십억원의 비자금을 조성했고 이 역시 이 전 대통령에게 전달됐을 것으로 검찰은 의심하고 있다.

명의상 고(故) 김재정씨(MB 처남)와 이 회장의 소유였던 도곡동 땅의 매각대금 중 일부가 이 전 대통령의 서울 강남구 논현동 사저 증축에 사용됐고, 이 회장 몫 중 약 10억 원을 시형씨가 사적으로 사용했다는 진술도 나왔다.

검찰은 도곡동땅 매각자금의 흐름을 토대로 결국 다스의 실소유주가 이 전 대통령이라고 보고 있다.

다스의 실소유주로 판명된다면 기존 다스의 120억 원 횡령 사건 이외에 다스의 임직원들이 회사 차원에서 상당수의 비자금을 만들었고 그 자금이 이 전 대통령 측으로 흘러들어갔을 개연성은 더욱 또렷해진다.

아울러 이동형 부회장은 고철사업체로부터 리베이트 6억3000만원을 받은 혐의(배임수재)로 현재 MB 일가 중 유일하게 재판에 넘겨진 상태다.

검찰은 이 전 대통령의 최측근으로부터 혐의를 뒷받침할만한 진술과 '스모킹건'으로 떠오르는 증거들을 다수 확보했다.

친·인척과 최측근들의 혐의를 종합해보면 이 전 대통령에게 적용될 혐의의 윤곽을 유추해 볼 수 있다.

1일 현재 검찰이 결론을 내린 이 전 대통령의 '확실한 혐의'는 우선 국정원 특활비 4억5000만원을 수수한 혐의다. 이와 관련해 검찰은 김백준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78·구속기소)을 방조범으로, 이 전 대통령(뇌물수수)을 주범으로 명시했다.

국정원 특활비 가운데 김진모 전 청와대 민정2비서관(52·구속기소)이 받은 5000만원과 장다사로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61·영장기각)에게 건네진 10억원 등 의혹에 대해서도 검찰은 이 전 대통령이 개입했다고 보고 있다.

특히 장 전 기획관은 이 특활비로 18대 총선을 앞두고 여론조사 비용으로 사용했다고 검찰에 밝혀, 이 과정에 이 전 대통령의 개입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선거법 위반 혐의가 추가될 수 있다.

검찰은 또 다스의 미국 소송비와 BBK 투자금 반환 과정에도 이 전 대통령이 깊숙이 개입한 것으로 보고 있다.

검찰은 이학수 전 삼성전자 부회장이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특별사면을 기대하고 다스의 미국 소송비용 370만달러+α를 대납한 것으로 보고 이 전 대통령에 대해 뇌물수수 혐의를 적용할지 검토 중이다.

또한 이 전 대통령은 김재수 전 LA 총영사에게 지시해 다스가 BBK 투자금 140억원을 먼저 반환받을 수 있도록 한 것과 관련해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의 피의자 신분이기도 하다.

아울러 이 전 대통령의 자금관리인인 이영배 금강 대표(구속)와 이병모 청계재단 사무국장(구속)에 대한 혐의도 이 전 대통령과 연결될 수 있다. 검찰은 이들이 금강 등 다스 관계사에서 횡령한 비자금이 이 전 대통령 측에 흘러들어갔을 가능성을 의심하고 있다.

다스 서울사무실이 위치한 영포빌딩 지하2층에 'BH(청와대)'가 기재된 박스 수십개에 대통령기록물을 보관하고 있다 들통나 대통령기록물법 위반 혐의도 있다.

현재까지 검찰이 이 전 대통령이 받은 것으로 의심하는 뇌물 액수는 Δ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5억원) Δ다스 소송비 대납(60억원 이상) Δ이팔성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 인사청탁(14억5000만원) Δ대보그룹 수주 청탁금(수억원대) 등 90억원에 달한다.